(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여름내 수박 농사로 바빴던 봉화군 재산면에서는 요즘 토마토 수확으로 대박의 기쁨을 맛보고 있다.
봉화군 재산면의 재산토마토작목회 농업회사법인(대표 김윤하, 64세)은 경북도가 추진한 공동영농 모델을 지난해부터 도입하면서 26 농가가 힘을 합쳐 수박과 토마토를 이모작으로 재배하고, 공동 집하장과 자동 선별기를 갖추면서 농사 방식이 확 달라진 덕분이다.

수박 노지재배를 시설재배로 전환하여 수확 시기를 앞당기고 수확 후에는 후작으로 토마토까지 이어 심으니 농가당 소득이 세 배로 늘어 농가당 평균 4억 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고 10억 원대 매출을 올리는 농가도 있다.(※ 노지수박(단작) 농업생산액 3만원/3.3㎡ ⟶ 시설수박(단작) 5만원/3.3㎡ ⟶ 전작)시설수박 + 후작)시설토마토 15만원/3.3㎡)
“수박 농사가 잘 됐는데, 올해는 토마토 가격도 지난해보다 좋아서 소득이 더 늘어날 것 같습니다! 공동영농으로 마을 사람들이 다 같이 하니까 정말 돈 되네요!”라며 김윤하 대표의 얼굴에 웃음이 가득하다.
법인에 참여한 청년들이 주축이 되어 선진 기술 도입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서 배워온 수박 상자 재배 기술을 현장 여건에 맞게 정착시켜 기존 수박 포복재배 방식을 지지대와 유인줄을 활용해 덩굴을 위로 올려 키우는 수직재배로 바꿔 생산량도 늘었고 농작업도 수월해졌다. 특히 올해는 수박 가격이 평년보다 30%이상 높아 판매 수익도 좋았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토마토 재배에서도 소득을 늘이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이어졌다. 토마토의 연작 피해를 줄이기 위해 토양에서 재배하는 대신 상토를 활용한 상자재배 기술을 도입하였고, 수박 수확 전에 토마토를 미리 심으면서 활착이 빨라져 수확 시기도 열흘이나 앞당기고 생육 기간은 더 길어져 수확량이 20% 이상 늘었다.

공동영농으로 법인이 새로 도입한 방울토마토 자동 선별·포장 시스템도 소득을 올리는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농가가 개별적으로 선별·포장 하던 것을 기계화해 시간당 6톤에 달하는 처리 능력을 확보하면서 인건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대량 출하가 가능해 졌고, 상품성 향상으로 안정적인 판로 확보와 가격 협상력까지 더 높아졌다. 농민들이 개별적으로는 시도하기 어려웠던 혁신이 공동영농이라는 이름 아래 가능해진 것이다.
변화는 농업현장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마을에도 활력이 돌기 시작했다. 소득이 늘자 청년농과 후계농이 들어오고, 3년 만에 아기가 태어난 것도 공동영농이 가져온 변화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수박·토마토 이모작 공동영농 덕에 마을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는 말이 돌고, 농민들끼리 “농사가 대박 나서 벤츠를 몰고 다닌다”는 농담도 오간다.
재산지구는 21농가 15.8ha 규모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5농가가 더 들어와 26농가 21.2ha까지 확대되었고, 장기적으로 재산면 지역 중심으로 300ha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으로 봉화군 농업기술센터와 함께 새로운 재배 기술을 연구하고 공동 시설을 인근 농가에도 개방해 파급 효과를 키울 예정이다.
봉화 재산지구의 성공 사례는 농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라는 난제를 풀어낼 ‘농업 대전환’의 시발점이 되어 가장 오지의 농촌마을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사는 마을로, 그야말로 경상북도가 꿈꾸는 ‘혁신농업타운’을 현실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경북형 공동영농의 성공 사례를 통해 농업이 더 이상 힘들고 소득이 낮은 산업이 아니라 첨단화와 협업을 통해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며 “경북에서 시작된 농업 대전환의 물결이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되어 농업의 미래를 새롭게 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