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소방서 구조담당 소방경 이정완)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며 산이 물들기 시작하는 계절, 가을이다. 단풍으로 붉게 물든 산길을 찾는 등산객이 늘어나면서 전국 곳곳의 등산로가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그러나 매년 이 시기에는 안타깝게도 산악사고도 함께 증가한다.
경북소방본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2년간(2023~2024년) 산악사고는 9월 311건, 10월 261건으로 연중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의성에서도 지난해 한 해 동안 24건의 산악사고가 발생했으며, 대부분이 부주의나 무리한 산행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사고 유형을 살펴보면 조난·고립 등 수색사고가 41.17%, 실족·낙상·추락 등 부상사고가 38.41%, 경련·탈수·저체온증 등 질환사고가 17.64%를 차지했다. 등산로를 벗어나 임산물을 채취하다 길을 잃거나, 방심한 순간 발을 헛디뎌 부상을 입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산행의 즐거움이 순식간에 위기로 바뀌는 순간이다.
이에 의성소방서는 산악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산악사고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봄철·가을철 산악구조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사상자 발생 현황과 사고 다발지역(지점)을 발굴해 구조활동 동선을 분석하고, 금성산·비봉산·청화산 등 주요 등산로의 산악안전시설물을 정비하는 등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가을 산행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등산객 스스로의 주의와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다음과 같은 기본 안전수칙을 꼭 지켜주시기 바란다.
첫째, 산행 전이나 중간에 음주를 삼가야 한다.
술은 판단력을 흐리게 해 사고 위험을 크게 높인다.
둘째, 혼자보다는 동행과 함께 산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사고 시 구조 요청이 훨씬 수월해 진다.
셋째, 산악위치표지판이나 국가지정번호를 미리 확인해 두어야 한다.
비상 상황 발생 시 119에 정확한 위치를 전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넷째, 기상상황을 반드시 확인하고 정해진 등산로를 이용해야 한다.
무리한 산행은 탈수·저체온증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다섯째, 등산화와 장갑, 휴대용 랜턴 등 안전장비를 갖추는 것은 기본이다.
작은 준비가 큰 사고를 막는 생명줄이 된다.
가을 산행은 마음의 여유를 주는 소중한 시간이다. 하지만 아름다운 풍경만큼이나 산은 늘 위험을 품고 있다. 잠깐의 부주의가 나와 가족의 행복을 위협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의성소방서는 앞으로도 철저한 훈련과 체계적인 대응으로, 군민 모두가 안심하고 산을 찾을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올가을, 안전한 발걸음으로 단풍길을 걸으며 건강하고 행복한 시간을 보내시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