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7월 1일 비상경제대책TF 5차 보고회를 개최하고, 민선 8기 후반기 시정 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김장호 시장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의 경제발전을 선도해 온 구미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 평균연령 30대, 지역내총생산(GRDP) 30조 회복이라는 단기 목표를 세우고, 예산 3조 시대를 새롭게 열겠다”고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어, “물가안정과 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경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고, 골목상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 행정력을 집중한다.”고 밝혔다. ■ 2년간 뛰어다닌 발품 행정, 구미의 희망을 꽃피우다! 김장호 시장이 지난 2년간 중앙부처와 관계기관에 지역 현안 해결과 국책사업 확보를 위해 다닌 거리는 18만km(지구 4바퀴)*가 넘었다. (*187,446km, 총 168회) 그 결과, ‘방산혁신클러스터(‘23. 4.)’, ‘반도체 소재ꞏ부품 특화단지(‘23. 7.)’, ‘교육발전특구(‘24. 2.)’에 이어, ‘기회발전특구(‘24. 6.)’까지 지정되면서 국책 프로젝트를 선점하고,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최적의 여건을 마련했다. 투자유치의 패러다임도 바꿔나갔다. 지역 기업을 직접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7월 1일부터 8월 16일까지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가족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미혼남녀의 자연스러운 만남의 장‘두근두근~ing」의 2차 참가자를 모집한다. ‘두근두근~ing’는 바쁜 일상 속 인연을 만나지 못한 청춘남녀들이 함께 모여 팀별 게임, 1:1 대화, 도시락 데이트 등 즐겁고 특별한 만남을 가지는 행사로, 8월 31일에는 2차 본행사를, 9월 7일에는 애프터 파티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1차‧2차 신청자와 참가자를 대상으로 10월 중 칵테일파티를 개최해 청춘남녀들의 자연스러운 만남과 교류가 활발히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구미시에 주소를 두고 있거나 직장을 둔 29세~39세 미혼남녀는 참가할 수 있으며, 참가신청서와 혼인관계증명서(상세), 주민등록등본, 재직증명서, 최종 학력 증명서 등 구비서류를 (사)한자녀더갖기운동연합 구미시지부(dgdging@daum.net)로 제출하면 된다. 한편, 지난 6월에 개최한 1차 행사에서는 162명의 미혼남녀가 신청했다. 공공기관‧대기업‧중소기업‧금융기관‧자영업 등 다양한 직업군이 신청해 열띤 관심을 나타냈으며, 이 중 52명이 참가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6월 27일 20년 이상 대(代)를 이어 운영하는 5개의 업체를 ‘구미시 향토장수소상공인 대대손손가’로 선정했다. ‘구미시 향토장수소상공인 대대손손가 가업승계 지원사업’은 올해 처음 시행된 사업으로, 업력이 오래되고 전통 있는 점포를 지원해 구미시 대표 소상공인으로 육성하고 특색있는 골목상권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20년 이상 전통을 유지하며 친족에게 동일 업종 가업승계를 완료한 구미 관내 업체 중 역사성, 지역성,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했으며, △산동탁주양조장 △금오산길 △라망웨딩 △산동장안식당 △모던덕 오리전문점 등 5개 업체가 선정됐다. 선정 업체에는 구미시 향토장수소상공인 대대손손가 현판을 수여하고, 브랜드 강화를 위한 진단 컨설팅, SNS 홍보, 시설 환경개선 등 1천5백만 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지역 특성과 오랜 역사를 지닌 업체들이 많아질수록 관광 경쟁력도 확대될 것”이라며, “오랜 기간 시민에게 사랑을 받아온 업체들이 대를 이어 명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계속하겠다. "고 했다.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최근 2년간 청년창업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 창업자 38명을 육성하고 총매출 38.7억 원을 달성과 함께 신규 고용 19명을 창출하는 등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고 있다. 대표적인 청년 사업가로는 △푸드리푸드 박진우 대표 △㈜더블제이이엔씨 김주희 대표 △에코에듀센터(DUP) 신혜림 대표 △㈜선산 김성식 대표 등이다. ‘고등어 청년’으로 불리는 푸드리푸드 박진우 대표는 99.9% 가시 제거 기술과 함께 직접 재배한 허브로 숙성한 공정으로 비린내를 제거한 한 끼 고등어 팩 사업화를 통해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등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 총매출 11.5억 원, 신규고용 창출 10명을 달성했다. ㈜더블제이이엔씨 김주희 대표는 고도화된 이동식 다관절 로봇 장치를 개발해 아주스틸, 현대모비스, 루셈 등에 납품으로 총매출 11.8억 원 달성하고 신규 고용 7명을 창출하는 등 중소기업중앙회(KBIZ) 기업경영 표창을 받아 구미시 제조업의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환경문제와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커피박(커피 찌꺼기)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을 판매하는 에코에듀센터(DUP) 신혜림 대표,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가 ‘2023년 강소연구개발특구 연차평가’에서 전국 14개 강소연구개발특구 중 최우수로 선정됐다. 연구소기업, 창업기업 설립 등 6대 핵심 지표를 목표 대비 160% 이상 초과 달성하는 성과와 함께 지자체 재정지원 등 구미시의 직·간접적 노력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경북구미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구미강소특구)는 2020년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지정된 R&D특구로, 올해로 사업 4년차를 맞이했다. 금오공과대학교가 기술핵심기관으로 공공기술 이전·사업화·재투자를 통한 지역발전 및 과학기술 기반 제조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226.33억 원으로 추진 중이다. ▶ 구미강소특구 지난 3년간의 성과 □ 맞춤형 공공기술 이전·사업화 지원 구미강소특구는 지난 3년간 기술이전·출자를 통해 유망 우수기술을 수요기업에 매칭하고,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는 연구소기업과 기술집약도가 높고, 혁신적인 특허권을 보유한 첨단기술기업 설립을 맞춤 지원했다. 그 결과, 23년까지 연구소기업 30개사, 첨단기술기업 2개사를 설립했으며, 매출액 141.8억 원, 신규 고용 53명이라는 우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운영 중인 자전거·PM보험(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 7월 1일부터 공용자전거 사고와 외국인에 대한 보장을 확대한다. 공용자전거는 동락공원과 낙동강체육공원에서 대여하는 자전거로, 사고발생일 당시 등록 외국인을 포함해 구미시에 주소를 둔 시민이면 자동 가입되며, 자전거와 PM(개인형 이동장치) 이용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해 보험 신청을 할 수 있다. (단, 사업자 소유 PM은 보험 가입대상에서 제외된다.) △자전거와 PM(개인형 이동장치) 사고로 인한 사망시 2,000만 원 △후유장해 발생 시 최대 2,000만 원 △4주 이상 진단 시 25만 원 △7일 이상 입원시(4주 이상 진단자 중) 20만 원이 지급된다.(공용자전거의 경우 사고 사망 1,000만 원, 후유장해 최대 1,000만 원, 입원 1일당 1만원 추가 보상) 자전거와 PM(개인형 이동장치) 운전자가 타인에게 상해를 입힌 경우 △ 벌금 부담시 최대 2,000만 원 △변호사 선임시 최대 200만 원 ▲ 처리지원금 최대 3,000만 원까지 보장한다. 보험금 청구는 사고 발생일로부터 3년 이내에 할 수 있으며, 보험 청구서와 증빙서류를 구비해 NH손해보험에 문의하면 되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6월 27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구미형 일자리’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상생형 일자리 협의체 상반기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상생기업과 협력업체, 노사관련 단체 등에서 추천받은 위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구미상생일자리협력센터 운용과 상생협력기금 조성 등 관련 사업추진 현황을 공유했으며, 시는 위원들의 의견과 건의사항을 검토해 향후 사업 추진계획 수립 시 반영할 예정이다. ‘구미형 일자리’는 직․간접고용 1,000명과 8,277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발생하는 정부 상생형 일자리로, 전국 최초로 대기업의 직접투자 일자리 유치라는 성과를 이끌어 냈으며, 작년 8월 ㈜LG-HY BCM 양극재 공장이 완공돼 올해부터 양산을 시작했다. 시는 이차전지 양극재라는 최첨단 소재분야에 앵커기업의 대규모 투자 유치를 성공했고 산자부 공모사업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수요맞춤형 지원사업’에 2년 연속 선정돼 ㈜LG-HY BCM과 협력할 지역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협력기업의 지역인재 채용과 기술경쟁력을 강화를 위해 지원 중이다. 구미시 관계자는 “노사민정이 서로 머리를 맞대 구미형 일자리가 지역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수 있도록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6월 26일 구미전자정보기술원과 함께 창업지원기관 10개 기관이 참여해 ‘구미시 창업지원기관 협의회’를 개최했다. 구미시 창업지원기관 협의회는 혁신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기업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 4월에 출범했으며, 매달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3회 차에서는 스마트 윈도우 필름을 개발하는 ㈜오리온엔이에스와 드론 재밍 모듈을 연구하는 ㈜알에프온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오리온엔이에스는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정보와 바이어 매칭, 수출지원 자금 분야의 대책을 논의했으며, ㈜알에프온은 우수 인력 확보 및 사업화 자금 지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김호섭 부시장은 “구미지역의 창업기업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고 미래의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또록 기관 연계를 통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미래가치가 우수한 첨단산업 분야의 혁신 창업기업은 기업투자과 또는 운영기관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일자리창업지원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6월 25일 교수, 미술협회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구미시 관광기념품 개발육성위원회를 개최해 상징성, 시장성, 심미성 및 작품완성도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한 후 우수관광기념품 9종을 선정했다. 이번 선정을 위해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 관광명소 등 매력적인 콘텐츠를 소재로 한 기념품을 대상으로 6월 11일부터 19일까지 8일간 신청업체를 모집했으며, 공모 결과 총 20개 업체에서 36점의 제품이 접수돼 구미시 관광기념품 산업에 대한 지역 업체들의 관심을 방증했다. 선정된 우수관광기념품은 △빌리버튼의 박정희 대통령 일러스트 굿즈와 구미 에폭시 마그넷 7종 △더블유비스튜디오의 새마을친구들 굿즈와 낭만토미 생활용품, 낭만토미 문구류 △에코썸코리아의 GUMI-UP키링 △힐링파인연구소의 돌배라면비누 △쓰리랑의 3D프린팅 캐릭터 굿즈 △르보네르의 구미 사계 섬유향수다. 더블유비스튜디오의 새마을친구들 굿즈는 MZ세대를 겨냥해 새마을 운동을 캐릭터화한 굿즈 키트이다. 뉴트로한 디자인의 패키지 내부에는 캐릭터 그립톡, 마스킹테이프, 볼펜, 떡메모지가 포함돼 있으며, 세월이 지나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새마을운동의 가치를 젊은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6월 2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민선8기 공약사업 추진상황 보고회’를 열고 총 112개 공약사업 중 47개를 완료해 민선 8기 공약 완료율 42%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시는 41만 시민이 다함께 잘 사는 ‘새희망 구미시대’를 구현하기 위해 전국 기초단체장의 평균 공약 77개* 보다 35개 많은 112개 공약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2024. 5. 10. 보도자료) 민선 8기 2년 동안 5개(4.5%) 공약을 완료하고, 42개(37.5%) 공약을 이행 후 계속 추진하는 등 47개 공약사업을 마무리 했으며 특히 눈에 띄는 분야는 경제·보건체육·복지교육·문화 분야이다. 경제 분야에서는 취임과 동시에 구미시 비상경제대책 T/F팀을 발족해 발 빠른 대응과 도전으로 △방산 혁신클러스터 선정(2023. 4.) △반도체 소재‧부품 특화단지 지정(2023. 7.) △산단 혁신형 기회발전특구지정(2024. 6.) 등 연이은 대형 국책사업 유치 공약을 성공했고, 적극적인 기업 유치‧지원 원스톱 행정서비스 제공 등으로 지난 2년 동안 5조 7,597억 원, 466개 사, 4,522명의 기업투자 성과를 거뒀다. 보건체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6월27일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구미형 장애없는 도시인프라 조성 추진위원회’출범식을 열고 2024년 1차 추진사업 선정을 위한 심의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출범은 고령화 사회와 장애인 인구 증가에 따른 도시 설계 및 서비스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모든 시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다. 시는 장애인의 이동권을 기본권으로 인정하고 보장하기 위해 지난 2023년 1월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를 제정했다. 이어, 장애없는 환경 확대와 도시 기반의 개선을 통해 보행 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의 이동권을 지원하는 ‘구미형 장애없는 도시인프라 조성’계획을 수립했다. 지난 5월 조례 일부 개정을 통해 모든 시민, 특히 장애인과 노약자가 도시 인프라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생활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구미형 장애없는 도시인프라 조성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추진위원회는 김효섭 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환경교통‧도시건설‧사회복지‧문화체육관광 분야 실무진과 교수, 교통약자 전문가 등 11명으로 구성돼 관련 계획 수립, 시책 개발, 제도 개선, 기존 조사자료 활용 등의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지난 4월 26일부터 매주 금․토요일 구미새마을중앙시장에서 개최된 구미 달달한 낭만야시장이 6월 22일을 끝으로 KT 모바일 데이터 추산 총 23만 명이 다녀가고 판매자들은 총 2억 8천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종료됐다. 시민들에게 볼거리와 체험거리, 먹거리 제공해 전통시장으로 방문을 유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와 함께 구미시를 대표하는 행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기획된 야시장은 기존 대구를 비롯한 김천, 칠곡 등 주변에서 야시장을 운영하는 상황에서 구미만의 차별성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부산, 경주, 대만, 태국을 비롯한 국내외 유명 야시장 벤치마킹을 통해 그 시장들이 가진 장점과 특성을 파악했으며, 구미 야시장만의 특색과 강점을 발굴했다. △먹거리 메뉴 개발과 고물가 시대에 맞는 야시장 만의 합리적인 가격 책정, △온가족이 즐겁게 저녁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다양하고 인기 있는 무료체험프로그램 운영 △화려하고 다양한 포토존 및 조명을 통한 젊은이들이 사진찍기 좋은 장소 등 세 가지 방향에 역점을 기울였다. 특색 있는 먹거리를 위해 구미대학교에서 엄격한 요리법 전수와 위생‧서비스 교육 등 특화된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6월 26일 삼성구미사업장 환경안전(EHS) 그룹(그룹장 김종열)은 환경의 날을 기념해 사회복지시설을 위한 500㎖ 생수 6,000개를 구미시에 전달했다. 앞서 지난 11일에는 구미미소로타리클럽(회장 최미향)은 회장 취임식 기념으로 받은 쌀 10kg 19포와 20kg 1포를 저소득 취약계층을 위해 구미시에 전달했다.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립중앙도서관은 오는 7월부터 초등 교과 연계 책 꾸러미 대출 서비스인 ‘초BOOK초BOOK’을 진행한다. ‘초BOOK초BOOK’은 학년별 교과 연계 도서 100권을 5권씩 꾸러미에 담아 대출할 수 있는 서비스로, 1학년부터 6학년까지 학년별 20꾸러미, 총 120꾸러미로 구성됐다. 초등학교 수업과 연계된 도서로 구성돼 어린이들의 학습 능력 증진과 함께 꾸준한 독서 습관 형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립중앙도서관 2층 어린이자료실에서 각 학년에 맞는 책 꾸러미를 신청하면 되고, 다른 학년 꾸러미 신청도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시립중앙도서관 어린이자료실로 문의하면 된다. 이선임 시립중앙도서관장은 “앞으로도 어린이들을 위한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했다. 한편, 지난해부터 운영 중인 취학 전 유아와 어린이를 위한 책 꾸러미 대출 서비스 ‘1,000권의 그림책 여행’도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성황리에 운영 중이다.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구미시는 오는 9월 계명대학교 목요 철학원 인문 도시 지원사업단과 함께 구미의 인문 자산을 주제로 한‘구미를 기록하다’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는 디카시(詩)(사진과 짧은 시 2편 이상)와 동영상(쇼츠 형식의 1분 내외 동영상 또는 3분 내외 동영상 1편 이상)의 2개 부문이다. 내용은 구미의 문화유산, 명승지, 풍경, 예술 등 구미의 자랑거리이자 인문 자산을 대상으로 하는 작품이면 시민 누구나 출품할 수 있다. 접수 기간은 9월 1일부터 30일까지로, 예심을 거쳐 10월 인문 주간 중 온라인 투표와 심사위원 심사를 통해 수상작을 선정할 예정이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구미시장상과 상금 100만 원이 수여되며, 15명의 수상자에게 총상금 360만 원을 수여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과 참여 방법은 구미시평생학습원 누리집과 인문 도시 구미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