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9 (화)

  • 구름많음동두천 7.4℃
  • 구름조금강릉 10.5℃
  • 구름많음서울 7.9℃
  • 구름많음대전 7.7℃
  • 흐림대구 9.1℃
  • 흐림울산 11.2℃
  • 구름많음광주 10.6℃
  • 흐림부산 11.9℃
  • 맑음고창 11.4℃
  • 구름많음제주 13.8℃
  • 흐림강화 7.8℃
  • 흐림보은 6.3℃
  • 구름조금금산 8.5℃
  • 구름많음강진군 11.7℃
  • 구름많음경주시 11.6℃
  • 흐림거제 12.3℃
기상청 제공

정치

김상훈 국회의원,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환경보존” 촉구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난개발 우려…축구장 22만1,535여개 면적의 그린벨트 해제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자유한국당 김상훈 국회의원은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난개발을 우려된다.”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환경보존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박정희정권 때인 지난 1971년부터 1977년까지 8차례에 걸쳐 지정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지정면적(53억9,711만㎡)이, 40여년이 흐른 2017년기준 1/3가량인 15억5,075만6천㎡가 해제됐으며, 이는 여의도 면적(4.5㎢)의 345배, 축구장(7,000㎡) 22만1,535개 면적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원도가 2억9,440만㎡로 전국에서 가장 넓은 그린벨트가 해제됐다. 그 다음으로 경남이 2억5,988만4천㎡으로 문재인정부 들어서인 2017년에만 303만2천㎡이 해제됐다. 다음이 전북으로 2억2,540만㎡, 충북이 1억8,270만7천㎡, 부산이 1억3,782만8천㎡, 경기도가 1억3,110만7천㎡ 순으로 각각 해제됐다.


그린벨트는 2000년대 들어 개발 붐이 본격화되면서 해제되기 시작했다. 해제된 전체 15억5,075만6천㎡ 중 이명박(2008~2012), 박근혜 정부(2013~2016)때 해제된 면적은 각각 8,832만6천㎡과 1,982만6천㎡으로 전체의 8% 정도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그린벨트 전면 조정은 ‘그린벨트 전면 해제’를 선거공약으로 내걸었던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시작됐다. 그 결과 2001년8월 처음으로 제주권의 그린벨트가 전면 해제됐다. 2002년 12월까지 강원 춘천, 충북 청주시, 전남 여수ㆍ여천권 등 4곳의 그린벨트가 전면 해제됐다.


또한 노무현 정부 들어서도 2003년6월 전주에 이어 10월에 진주, 통영 지역의 그린벨트가 해제되어 정부가 전면 해제하기로 결정한 7개 중·소도시의 그린벨트 해제절차가 이뤄졌다. 수도권과 대구, 부산, 광주, 대전, 울산, 마산, 창원, 진해권 등 나머지 7개 대도시권역은 부분해제지역으로 지정됐다.


문재인정부 들어서도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결정이 속속 추진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수도권 그린벨트 일부를 공공택지로 개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신규 공공택지 후보지 중 경북 경산을 제외한 수도권 8곳(480만4천㎡)의 공공택지 후보지에도 그린벨트가 포함돼 있다. 이 중 70%인 336만1천㎡ 가량이 현재 그린벨트에 묶인 곳으로, 가장 면적이 넓은 남양주 진접2의 경우 46%인 58만8천㎡가 그린벨트다.


하지만 김 의원은 “이러한 ‘수도권 규제완화’는 참여정부 시절부터 지속 추진하고 있는 국토균형발전 정책과 반대로 가는 것인데도 난개발을 비난하던 시민단체들은 입을 다물고 있다”고 지적하며


“과거 2000년도에 우리나라 인구가 4,463만 명에서, 18년이 흐른 올해 5,163만으로 늘었지만 그간의 그린벨트 해제는 잘못된 도시 확장정책 탓인 만큼, 압축도시 정책을 통해 마구잡이식 그린벨트 해제를 막아야 한다.”며, 현정부의 수도권 중심의 그린벨트 해제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갈수록 인구는 줄어들고 있는 마당에 자꾸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난개발 방식으로 주택을 공급하려는 정책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도시의 인구와 기능을 都心으로 모아가는 압축도시 정책으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환경으로 보존해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