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대구경북뉴스=김형만 기자)경상북도는 지방 소멸 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는 지역 특화형 비자 사업이 국내 체류 외국인의 인구 감소 지역 정착을 촉진하고, 지역 기반 이민정책으로 확실히 자리 잡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특화형 비자 사업은 인구 감소 지역에서의 거주와 취업을 조건으로 외국인의 정착을 유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지역우수인재(F-2-R) ▴숙련기능인력(E-7-4R) ▴외국국적동포(F-4-R)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경상북도는 2022년 10월 시범 사업 참여 이후 2023년 290명, 2024년 386명에게 지역우수인재 비자를 추천했으며, 2025년에는 2년간 781명을 배정받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비전문취업(E-9), 선원취업(E-10), 방문취업(H-2) 비자 소지자를 대상으로 한 숙련기능인력(E-7-4R) 제도가 신설되어 620명이 별도로 배정되었고, 사업 지역도 인구감소관심지역으로 확대되었다.
비자 신청을 위해서는 유형별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지역우수인재는 생활임금 이상 소득 또는 전문학사 이상 학력과 한국어능력 4급 이상이 필요하며, 숙련기능인력은 최근 10년간 E-9・E-10・H-2 자격으로 2년 이상 체류한 외국인 근로자 중 합법적으로 근무하고 연봉 2,600만원 이상・한국어능력 2급** 이상 요건을 갖추면 추천할 수 있다.
* 인구감소관심지역(경주, 김천)의 경우 현 근무처에서 1년 이상 근무경력 필요
※ 인구감소지역(15개 시‧군)인 경우 현 근무처 근로경력 필요 없음
** 한국어능력 특례 한시적 운영(~26. 12. 31.) : 한국어 외 다른 요건을 충족할 경우 한국어 능력을 보완할 조건으로 추천서 우선 발급
외국국적동포는 인구 감소 지역에 2년 이상 거주 중이거나 가족과 함께 이주하려는 60세 미만 동포가 추천 대상이다.
경상북도는 우수 외국인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K-드림외국인지원센터를 운영하며, 비자 요건과 체류 관리 교육, 구직자-기업 매칭, 상담 및 사례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현장 중심의 이민정책 구현을 위해 외국인 채용 희망 기업을 발굴하고 기업체 설명회를 통해 사업 참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상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지역특화형 비자사업은 인구 감소 지역의 생활 인구 확대와 산업 인력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수하고 성실한 외국인 인재들이 경북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