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대구경북뉴스=김형만 기자)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도내 과수 농가에게 개화기에 발생하는 이상저온과 서리로 인한 냉해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사전 대비 관리 대책으로 첫째, 과수 기상재해(저온) 조기경보를 위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 시스템(www.agmet.kr)서비스를 활용한다. 해당 서비스는 사과, 배, 복숭아, 자두, 포도 등을 대상으로 현재 경북의 경우 17개 시군(포항, 경주, 영덕, 울진, 울릉 제외) 개별 농가(농장 단위 30×30m)에 대한 맞춤형 기상위험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하면 문자나 스마트폰 알림톡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사과와 배 과원에서는 요소 0.3%(1.5kg/500L)와 붕산 0.1%(0.5kg/500L)을 엽면시비한다. 지난해 수확 후 낙엽기 무렵 영양제를 살포하지 않은 과원을 대상으로 사과는 발아기~녹색기, 배는 발아기~전엽기 사이인 3월 하순 ~ 4월 상순경에 엽면살포하거나 화상병 1차 방제 시기에 방제 약제와 혼용해 살포한다.
요소와 붕산은 개화기 저온 피해경감과 착과량 증진에 도움을 주지만 고농도 살포시 꽃눈 등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권장 농도를 지켜 살포한다.
셋째, 저온·서리 피해 경감시설을 사전 점검한다. 경감시설에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상층부의 공기를 아래로 내려보내는 방상팬 ▴물이 얼 때 발생하는 잠열을 이용해 꽃눈을 보호하는 수관 상부 미세살수 ▴보일러를 이용해 미온수 증기로 과원 내 온도를 높이는 수관 하부 미온수 살수 시스템 등이 있다.
넷째, 저온 피해가 우려되는 과원에서는 냉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방풍망 등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망을 1m 정도 말아 올려주고, 특히 저온 발생 1~2일 전 토양 내 30cm까지 충분한 관수, 로터리 작업, 수관 하부 예초(풀 깍기), 피복물 제거 등을 통해 낮 동안 태양열을 토양 내에 흡수시키고 밤사이 방열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 밖에도 개화기 동안 인공수분을 실시하고 화분매개벌(꿀벌, 뒤영벌)을 활용하는데, 개화기 저온 경보가 발령되거나 비 예보가 있으면 인공수분 작업을 서두르고 열매솎기(적과) 일정을 늦춰 착과량을 최대한 확보한다.
사과의 경우 개화기 저온이 우려되면 중심화뿐만 아니라 측화에도 인공수분을 하는데, 꿀벌 등 꽃가루 운반 곤충은 인공수분 실시 7~10일 전 과수원에 투입하고, 지면의 민들레 등 다른 꽃은 제거해 원활한 수분 활동을 돕는다.
한편, 농촌진흥청에서 예측한 올해 경북 과수 만개기는 사과(영주 4월 21일~23일, 청송 4월 28일~30일), 배(상주 4월 13일~16일), 복숭아(청도 4월 11일~13일)이다.
고대환 기술보급과장은“도내 많은 과수 농가에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를 이용하고, 사전 대비책을 꼭 실천할 것을 당부드린다”0며 “농업기술원에서는 상습 피해지역 중심의 저온피해 현장기술지원과 관련 연구, 신기술 보급 사업을 통해 농가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