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사장 조성돈)은 4월 10일 부산 코모도호텔에서 열린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5년 춘계 학술대회에서 ‘방폐물 관리의 미래와 부지특성평가 산학연 전문가 공조의 중요성’을 주제로 특별세션을 개최했다.
이번 세션은 지난 2월 고준위방폐물 특별법 제정을 계기로, 향후 방사성폐기물 관리 체계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고준위방폐물 특별법은 수십 년간 국내 방폐물 관리의 최대 난제로 남아있던 고준위방폐물 처리 문제에 대한 법적·제도적 해법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특별세션에서는 방폐물 관리와 지하수 분야의 전문가들이 중・저준위방폐물 처분시설 부지특성평가 국내 사례 및 고준위 적용 방안, 부지특성평가 관련 기술 표준화 현황, 대심도 부지특성 조사를 위한 시추 및 물리검층 기술과 3차원 지질모델링, 고준위방폐물 처분시설 부지선정 해외사례 및 국내 적용 방안, 부지특성 조사 및 평가에 대한 품질보증, 고준위방폐물 특별법 핵심 내용 및 관리시설 부지선정 절차 등 다양한 주제발표를 진행하고 의견을 교환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중원대학교 김형수 교수가 좌장을 맡아 ‘방폐물 관리의 기술적 안전성과 사회적 수용성 사이의 균형점 찾기’를 주제로 논의를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중・저준위 방폐물 관리시설 부지선정 및 건설․운영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적 노하우와 사회적 수용성 확보 경험을 고준위방폐물 관리사업에 접목하고, 기술 표준화를 통해 체계화·확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부지특성평가의 핵심인 지하수 분야는 산학연 간 유기적 협력과 합의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조성돈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은 “산학연 협력을 바탕으로, 한국이 방폐물 산업 분야의 글로벌 선도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