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대구경북뉴스=황지현 기자)경북도서관은 4월 3일 경북도서관 회의실에서 ‘K-상생 특화도서관 증축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경북도서관의 어린이 도서관 공간 협소 문제를 해소하고, 증가하는 어린이와 어르신 인구를 위한 세대 통합형 맞춤형 도서관 구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를 통해 도서관을 단순히 독서하는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의 소통과 연대를 촉진하고, 세대 간 돌봄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복합문화 공간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어린이와 어르신을 위한 특화된 도서관 공간 조성
특화도서관은 어린이를 위한 장난감 도서관과 어르신을 위한 큰 글자 도서관을 포함해 세대별 맞춤 공간으로 구성된다. 특히 조손 세대가 함께 참여하는 독서·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해 세대 간 교류 활성화와 서로에 대한 돌봄 기능까지 강화할 계획이다.
▴스마트 도서관 서비스 도입으로 이용 편의성 확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스마트 도서관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전자책과 오디오북 서비스, AI 도서 추천 시스템 등 ICT 기반의 서비스를 통해 모든 연령층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광역 대표 도서관으로서 공동 보존서고 설치와 운영
도내 공공도서관 납본자료를 수집·보존·관리하는 공동 보존서고 설치를 추진해 광역 대표 도서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도민들이 다양한 자료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자료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지역사회 생활밀착형 문화공간으로의 발전
유휴 부지를 공원화해 어린이 놀이터와 주민 쉼터로 조성함으로써 도서관 접근성과 주민 편의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어린이와 고령층을 위한 무장애 설계를 도입하고, 맞춤형 편의시설을 확충해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경북도서관 김호기 관장은“K-상생 특화도서관이 지역사회 내 세대 통합과 소통, 화합을 촉진하는 중심적인 공간이자, 서로 돌보며 성장할 수 있는 따뜻한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