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터전을 앗아가는 토사(土砂)재해, 와 그 방재에 관한 생각
세계는 지금 홍수, 지진, 산불 등 재난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 피해는 더욱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기후’는 이제 더 이상 특별한 단어가 아니라 매일 일어나는 기상 상황 중 하나로 인식해야 할 때이다. 우리는 2년 전 경북 예천군에서 발생한 폭우로 촉발된 토사재해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경험했다. 언론은 이를 ‘미증유의 재난’, ‘수십 수백 년만의 재난’이라 대서특필했으나, 필자는 이에 선뜻 수긍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유사 재난이 이미 적지 않게 발발했고, 내일 당장 ‘수백, 수천 년만의 재난’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현대 재난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며,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전역을 대상으로 세심하게 예측하고 통계·관리하는 체계적인 재난 대응이 필요하다. 올여름 풍수해로 인한 인명피해가 최소화되기를 바라며, 토사재해의 메커니즘과 방재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본다. 토사재해는 크게 ‘산사태’, ‘급경사지 붕괴’, ‘토석류’ 세 종류로 분류된다. ‘산사태’는 토사재해 중 규모가 가장 크고, 집이나 밭 등을 통째로 이동시키거나 집어삼키기도 하며, 특히 진흙 바위나 결정 편암 등 특정 지질에서 많이
- 김석곤 영양소방서장 기자
- 2025-07-10 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