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대구시장. 아무리 힘들더라도 대구의 새로운 역사 만들어 갈 것

  • 등록 2019년07월04일
크게보기

민생경제 살리기, 미래 신산업 지속 육성, 조직 내부 혁신, 상생협력, 중점 추진

 

(데일리대구경북뉴스=이준호 기자) 권영진 대구시장이 민선7기 1주년, 취임 5주년을 맞아 지난 5년간의 주요성과를 설명하고, 혁신과 도전으로 대구의 새로운 미래를 열겠다고 4일 밝혔다.

 

민선 6기의 ‘대구혁신 시즌1’이 대구의 미래 먹거리를 위해 산업구조를 바꾸고, 인프라를 조성하는 등 기반을 마련하는 과정이었다면, 민선 7기 ‘대구혁신 시즌2’는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대구를 행복공동체로 만들어 가는 시기이며, 지난 1년은 중단없는 혁신을 위해 노력한 한해였다고 밝혔다.

 

또, “지난 5년은‘정금백련출홍로(精金百鍊出紅爐) 매경한고발청향(梅經寒苦發淸香)’(좋은 쇠는 뜨거운 화로에서 백 번 단련된 다음에야 나오는 법이며, 매화는 추운고통을 겪은 다음에야 맑은 향기를 발한다)의 시간이었다.”고 자평했다.

 

권 시장은 지난 5년간의 주요성과로 먼저 세계적 물산업 허브도시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국가물산업클러스터’가 7월 본격적으로 가동되고 지난 5월 ‘한국물기술인증원’을 유치함으로써 세계 물시장을 선점하고, 물기술인증원을 국제인증기관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또, 자동차 부품 생산도시에서 미래형 자동차 생산도시로 변화했다며, ‘전기차 선도도시 국가 브랜드 대상’ 2년 연속 수상, 제32회 ‘전기차 모범 도시상’을 수상하는 등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7대 로봇기업 중 4개 기업 유치와 더불어 로봇기업 수도 크게 증가(’17년, 161개사)했으며 매출액(6,647억원)과 고용(2,287명)은 전국 3위권으로, 로봇산업 불모지에서 로봇산업 메카도시로 도약했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적극적 투자유치로 지난해 9월 일본니카코리아(계면활성제 분야 200억원), 12월 이스라엘 아이엠시(IMC)그룹의 첨단공구기업 설립 투자(700억원), 올해 3월 베트남 빈그룹(1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이끌어 내어 민선 7기 동안 17개사 5,181억 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또한, 청년 생애이행과정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대구형 청년보장제’(5개 프로젝트 50개 사업, 902억 원)를 실시, 청년 순유출 도시에서 순유입 도시로 전환을 도모하고 있고, ‘대경혁신인재양성 프로젝트(HuStar)’를 추진해 미래산업 8대 분야 혁신 지도자 50명과 혁신인재 3,000명을 양성하고 있다.

 

대구시는 ‘사회서비스원’을 전국 최초 설립(’19.4.1.)해 시립희망원 등 국·공립 복지시설을 직영함으로써 질 높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게 됐고, 대구시민 누구나 자동 가입되는 ‘대구시민안전보험’ 도입(’19. 2월)은 시민의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 촘촘하고 따뜻한 사회안전망을 조성하고 있다.

 

‘대구산업선’은 그동안 경제성 미흡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예타면제 사업으로 전액국비로 시행하게 됐고, 오랜 기간 방치돼 온 ‘서대구 화물역’은 ‘서대구 고속철도역’으로 재탄생(착공 ’19.3.12.)해 대구 균형발전 성장 동력을 구축했다 설명했다.

 

권 시장은 사상 최초 항공여객 400만 명 및 3년 연속 흑자(’16~’18년)를 달성한 대구국제공항은 26개 노선에 주 418편의 국제노선을 가진 명실상부한 국제선 부문 4대 공항으로 발전했으며, ‘컬러풀페스티벌’은 관람객 100만 명의 축제로 정착, 재미와 비즈니스가 결합된 ‘치맥페스티벌’, 소원을 주제로 한 ‘소원풍등 날리기’, 아시아 최대인 ‘국제오페라축제’, ‘국제뮤지컬페스티벌’ 등 세계인이 즐기는 공연 문화도시로 발돋움했다고 밝혔다.

 

한편, “‘통합신공항 건설’은 정부의 금년 내 최종 이전부지 선정 약속으로 본 궤도에 진입했으며, 그동안 답보상태에 있던 ‘안전한 먹는 물’ 확보 문제는 국무조정실 주관의 관련 기관 업무 협약체결로 갈등해결의 전기를 마련했다.”고 밝히고, “대구 신청사 건립은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고 있으며, 연내 이전 부지를 확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5년간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산업구조의 혁신, 내륙의 닫힌 도시에서 세계로 열린 도시로의 혁신, 도시공간구조 개선을 통한 동서균형발전의 혁신, 시민과 소통하고 협치 하는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한 기간이었다.”며, “앞으로는 3대 현안사업의 성과창출과 함께 민생경제 살리기와 미래 신산업 지속 육성, 조직 내부 혁신, 상생협력을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이며, 아무리 힘들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인내하면서 대구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준호 기자 dljh4202@daum.net
저작권자 2015.01.15 ⓒ dailydgnews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41161 대구광역시 동구 화랑로 365 (미광빌딩)4층 Tel 053-743-5675 Fax : 053-743-5676 등록번호 : 대구 아00183 | 사업자 등록일자 : 2015.08.12 | 발행인 : 김형만 편집인 : 황지현 copyright 2015 데일리대구경북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