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민주운동이 58년이 지난 오늘(6일)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2.28민주운동은 1960년 2월 28일 자유당 이승만 독재정권의 독재와 부정, 부패의 저항으로 경북고, 사대부고, 대구고, 대구상고(현 대구상원고), 대구공고, 대구농고(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 경북여고, 대구여고 등 8개 고등학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일으킨 우리나라 최초의 학생민주운동이다.
이후, 3‧15의거와 4‧19혁명의 기폭제가 됐고,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 최초의 민주화 운동이자 대구·경북을 연고로 한 국가기념일은 2·28민주운동이 처음으로 더 큰 의미와 대구의 자랑스러운 역사 자산이 아닐 수 없다.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면서 중앙 주관부처가 정해지고, 기념사업회 주관 기념식에서 정부 행사로 격상되어 전국적인 범위에서 기념식을 거행하게 된다.
대구시는 2·28민주운동 국가기념일 지정을 축하하고 시민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축제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시민주간과 연계한 다양한 부대행사를 준비 중이다.
우선 김정길 TBC 사장이 작사하고 임우상 전 계명대 음대교수가 작곡한 2‧28찬가 노래비 제막식이 2‧28기념중앙공원에서 개최된다. 노래비는 2‧28정신 계승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역 언론계, 경제계 등에서 모금한 건립 후원금 1천 650만원을 들여 설치된다.
또한 반월당 일대에서 당시 상황을 재연하는 ‘민주의 횃불 거리행진’행사에는 2‧28 민주운동에 참여한 지역 8개 고교 재학생 800명이 옛 교복을 입고 반월당에서 기념식 행사장인 대구콘서트하우스까지 힘찬 행진을 하게 된다.
시 에서는 2·28정신을 국채보상운동, 신암선열 국립묘역 지정과 연계, 발전시키고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 정신자산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관련단체와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우리나라 민주운동의 효시인 2·28민주운동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것을 250만 대구시민과 함께 진심으로 환영하며, 오늘의 결실이 있기까지 뜻과 역량을 모아준 정부와 지역 국회의원을 비롯한 정치권에 대하여 마음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정신 계승사업, 연구사업, 교육사업, 홍보사업을 통해 대구의 빛나는 역사정신문화로 잘 기려서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