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권영진 대구시장, 김장주 경북도 행정부지사, 김주수 의성군수, 김영만 군위군수가 대구시청 별관에서 3차 단체장 회의를 갖고, 대구공항과 군 공항의 통합 이전 후보지 선정을 위한 41명의 전문가 위원회를 내년 1월 31일까지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단체장들은 이날 회의에서 전문가위원회는 자치단체가 추전하는 8명과 비연고 전문가 33명 등 41명으로 구성하고, 그 구성방법은 4개 자치단체 실무협의회에서 논의해 내년 1월 15일 4개 지방자치단체장이 3차 회의를 통해 확정키로 했다.
아울러 내년 설 이전 통합 공항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려던 대구시의 당초 계획은 사실상 불가능해졌으며, 또한 앞으로 추진 상황에 따라 6월 지방선거 이후로까지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또한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하더라도 전문가 위원회의 권한과 역할을 규정할 지자체 실무협의회의 역할조차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아 자칫 옥상옥이 되고 실무협의회도 각 지자체의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대구공항 통합이전 후보지 선정과 관련, 4개 지자체장은 지난 15일 국방부에서 열린 대구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에서 4개 단체장이 합의하면 선정위원회가 이를 수용키로 결정한 바 있다.
이에 4개 단체장들은 지난 21일 1차 회의를 열고 전문가위원회를 구성, 통합 공항 이전 후보지를 결정키로 합의했다. 또 1차 단체장 회의에 따라 4개 지자체의 실무위원들은 27, 28일 양일간 실무협의회를 열고 전문가 위원을 지자체가 추천하는 8명과 비연고 전문가 32명 등 40명선으로 정했다. 하지만 추천방식과 자격, 권한 등에서는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하고 단체장들에게로 넘겼다.
대구시 정의관 공항추진본부장, 경북도 장선중 공항추진기획단장, 군위군 이종락 기획감사실장, 의성군 이재한 공항추진기획단장 등 4명의 실무위원들은 회의에서 전문가 위원 추천 및 선발기준, 방법, 권한과 후보지 선정 기준과 절차, 방법, 여론조사 실시여부 등 각론에서 각 단체의 입장차를 극명하게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전문가위원회가 구성되면 통합공항 이전후보지 선정을 위한 평가방법과 절차 등을 논의하게 되지만 2월 중순이면 광역단체장 예비후보 등록 등 6월 지방선거 일정이 뒤따르고 있어 자치단체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연관된 통합공항 이전 후보지 선정 작업이 제약 받을 가능성또한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대구공항 통합이전지 결정은 현재 이전예비후보지(군위군 우보면과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중 한 곳으로 결정되면, 그때부터 대구시는 주민지원계획을 수립해 주민 공청회를 연고, 민투표를 거쳐 자치단체장이 통합공항 이전 신청을 해서 결정한다는 계획이다.